이제 우분투 FTP 서버로 여러개 프로그램이 있는데 속도와 안정성면에서 평가가 좋은 vsftpd 서버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슈퍼데몬 xinetd가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에 슈퍼데몬부터 설치합니다.
(터미널 명렁어이며 [시냅틱 패키지 관리자]에서 설치하셔도 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xinetd
2. ftp 서버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vsftpd
3. ftp 서버를 중지합니다.
(기억이 잘 안나서 추가합니다. 혹시 설치시 바로 서비스가 ftp 독립데몬으로 실행중이면 서비스를 중단합니다.)
sudo /etc/init.d/vsftpd stop (또는 BootUp Manager에서 확인 후 종료해도 됩니다.)
4. ftp 설정을 변경 합니다. (패시브 모드 추가)
sudo gedit /etc/vsftpd.conf
(아래 옵션 사항을 찾아서 변경합니다. 앞에 # 표시가 있는 경우 제거해 줍니다.
max_clients, max_per_ip는 기본적으로 없으므로 마지막에 추가합니다.)
listen = NO => 독립데몬 -> 슈퍼데몬
anonymous_enable=NO => 익명 사용자 접속 허가 여부 -> 접속 불가local_enable=YES => 로컬 사용자 접속 허가 여부 -> 접속
write_enable=YES => 쓰기 권한 허가 여부 -> 가능
local_umask=022 => 디렉토리나 파일 생성시 퍼미션 -> 755
dirmessage_enable=YES => FTP 접속시 메시지 보이기 여부 -> 보여줌
use_localtime=YES => 업로드 파일 로컬 시간 사용 여부 -> 사용
connect_from_port_20=YES => ftp 데이터 포트인 20번 포트 사용 여부 -> 사용
chroot_local_user=NO => 홈 디렉토리 상위 폴더 접근 여부 -> 금지
dirmessage_enable=YES => FTP 접속시 메시지 보이기 여부 -> 보여줌
use_localtime=YES => 업로드 파일 로컬 시간 사용 여부 -> 사용
connect_from_port_20=YES => ftp 데이터 포트인 20번 포트 사용 여부 -> 사용
chroot_local_user=NO => 홈 디렉토리 상위 폴더 접근 여부 -> 금지
max_clients=2 => 클라이언트 최대 접속 수 -> 개인적으로 2개 설정함
max_per_ip=2 => IP당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수 -> 개인적으로 2개 설정함
(패시브 모드로 접속할 수 있도록 아래 사항은 마지막에 추가 합니다.)
#passive mode
pasv_enable=YES
pasv_promiscuous=NO
pasv_min_port=50000
pasv_max_port=51000
pasv_addr_resolve=YES
pasv_address=개인 DDNS
pasv_enable=YES
pasv_promiscuous=NO
pasv_min_port=50000
pasv_max_port=51000
pasv_addr_resolve=YES
pasv_address=개인 DDNS
5. 슈퍼데몬 파일을 생성 합니다.
sudo gedit /etc/xinetd.d/ftp
service ftp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vsftpd
per_source = 5
instances = 200
log_on_success += PID HOST DURATION
log_on_failure += HOST
}
6. 서비스를 재 실행합니다.
sudo /etc/init.d/xinetd restart
'우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 예약실행 명령어 cron (0) | 2012.07.26 |
---|---|
crontab 사용법 및 php 실행 (0) | 2012.07.26 |
PHP로 올린 파일 권한 설정 (0) | 2012.07.07 |
리눅스 권한 퍼미션 보는 법 (0) | 2012.07.07 |
mysql 설정 영진이가 약간 수정 (0) | 201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