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rontab 사용법
분 | 시 | 일 | 월 | 요일 | 명령어 | 설명 |
0-59 | 0-23 | 0-31 | 1-12 | 0-7 | 실행할 파일 또는 명렁어 |
|
30 | 4,12 | * | * | * | cd /var/www/test; ./auto_sms.php | 매월 매주 매일 4시,12시 30분에 해당파일을 실행 시킨다. |
40 | 1 | * | * | 0 |
cd /var/www/test; ./auto_sms.php | 매월 매주일요일 1시 40분에 해당파일을 실행 시킨다. |
2.등록 및 수정
# crontab -e
vi 형식의 에디터 창이 나오면 i 키로 등록할 명령어를 입력한다.
* * * * * /usr/home/test.sh >> /dev/null : 1 분간격으로 해당 파일을 실행 하고 오류 저장을 하지 않는다.
3. .목록 확인
# crontab -l
4. 목록 수정
# crontab -e
# crontab -u username -e : 해당 유저의 crontab 수정
5. 목록 삭제
# crontab -r
6. 실행확인
# ps -ef | grep cron
7. 로그검토
# /var/log/cron
8. 파일 등록
# crontab [file_name]
9.시간 설정
* * * * * | 1분 마다 수행 |
5 * * * * | 매시 5분 마다 수행 |
5 6 * * * | 매일 6시 5분에 수행 |
5 6 7 * * | 매월 7일 6시 5분에 수행 |
5 6 7 8 * | 매년 8월 7일 6시 5분에 수행 |
5 6 * * 1 | 매주 월요일 6시 5분에 수행 |
5 6 1,10 * * | 매월 1일과 10일 6시 5분에 명령 수행 |
5 6 1-10 * * | 매월 1일~10일 동안 6ㅛㅣ 5분에 명령 수행 |
5 6 */5 * * | 매월 편집일로부터 5일마다 6시 5분에 수행 |
※ 주석 처리리시 맨 앞에 '#' 붙인다
# * * * * * /usr/home/test.sh
※ PHP 쉘스크립트(php 바이너리 파일이 있는 곳을 앞에 적어준다)
#!/usr/bin/php -e
<?php
echo "hello";
?>
'우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에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mstsc)으로 접속 설정(xrdp) (0) | 2012.08.26 |
---|---|
우분투 - 예약실행 명령어 cron (0) | 2012.07.26 |
vsftpd 폴더 생성시 권퐇 (0) | 2012.07.08 |
PHP로 올린 파일 권한 설정 (0) | 2012.07.07 |
리눅스 권한 퍼미션 보는 법 (0) | 201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