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2014. 6. 17. 11:29

CSS에서는 변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같은 코드를 여러번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주는 것이 Less입니다.

변수와 여러 함수를 이용하여 CSS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Less 문법으로 코드를 짠 후 컴파일을 하면 CSS 파일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컴파일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Ubuntu를 사용하고 있다면, 단 한줄의 코드로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apt-get install node-less

설치를 했다면 테스트를 해봐야겠죠. 다음의 내용으로 style.less 파일을 만듭니다.

@nice-blue: #5B83AD;
@light-blue: @nice-blue + #111;
#header {
  color: @light-blue;
}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lessc style.less > style.css

style.less가 있는 폴더에 style.css가 만들어집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header {
  color: #6c94be;
}

CSS 코딩을 할 때 변수를 사용하거나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공부할 거리가 더 생기는군요.

프로그래머는 계속 새로운 기술이 나와서 평생 지루하지 않은(?) 직업 같습니다.

Posted by 다오나무
우분투2014. 4. 2. 23:56

1. Java 설치

     1) 우분투에 오라클jdk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oracle-jdk7-installer 

제거할 경우 : sudo apt-get remove 패키지명

 

     2) 패키지를 찾을수 없다고 나올경우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 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python-software-properties

sudo apt-add-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sudo apt-get update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으면 설치가 가능합니다.  

 

2. Java 설치 확인

java -version


java version "1.7.0_51"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build 1.7.0_51-b13)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build 24.51-b03, mixed mode)

    위와 유사한 메시지를 출력해주면 설치가 완료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Tomcat7 설치

sudo apt-get install tomcat7

 

4. Tomcat 버전 확인

sh /usr/share/tomcat7/bin/version.sh

 

Using CATALINA_BASE:   /usr/share/tomcat7

Using CATALINA_HOME:   /usr/share/tomcat7

Using CATALINA_TMPDIR: /usr/share/tomcat7/temp

Using JRE_HOME:        /usr

Using CLASSPATH:       /usr/share/tomcat7/bin/bootstrap.jar:/usr/share/tomcat7/bin/tomcat-juli.jar

Server version: Apache Tomcat/7.0.42

Server built:   Aug 1 2013 01:42:03

Server number:  7.0.42.0

OS Name:        Linux

OS Version:     3.11.0-12-generic

Architecture:   amd64

JVM Version:    1.7.0_51-b13

JVM Vendor:     Oracle Corporation

ubuntu@ip-172-31-22-219:/usr/share/tomcat7/bin$ cd ~

ubuntu@ip-172-31-22-219:~$ sh /usr/share/tomcat7/bin/version.sh

Using CATALINA_BASE:   /usr/share/tomcat7

Using CATALINA_HOME:   /usr/share/tomcat7

Using CATALINA_TMPDIR: /usr/share/tomcat7/temp

Using JRE_HOME:        /usr

Using CLASSPATH:       /usr/share/tomcat7/bin/bootstrap.jar:/usr/share/tomcat7/bin/tomcat-juli.jar

Server version: Apache Tomcat/7.0.42

Server built:   Aug 1 2013 01:42:03

Server number:  7.0.42.0

OS Name:        Linux

OS Version:     3.11.0-12-generic

Architecture:   amd64

JVM Version:    1.7.0_51-b13

JVM Vendor:     Oracle Corporation

    위와 유사한 메시지를 출력해주면 설치가 완료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Tomcat 서비스 구동

sudo service tomcat7 start

 

6. 웹 브라우져로 구동 확인

 

 

Posted by 다오나무
우분투2012. 9. 7. 22:54

tar압축패키지로 전체 시스템 백업하기.. 

백업에 제외할 디렉토리를 정한다. 쓸모없는 디렉토리와, 백업파일 자신을 꼭 제외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다른 파티션의 하드를 마운트한 /mnt 등의 디렉토리도 제외시켜야 불필요한 용량증가와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media   /dev 등의 디렉토리도 빼주자. /sys, /dev 는 가상적인 디렉토리이다. 백업이 완료된 후 에러매세지를 볼수가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무시해도 된다.

 

백업 

1. 루트로 이동

#cd /

 

2.전체 시스템을 백업

#tar cvpzf backup.tgz --exclude=/proc --exclude=/lost+found --exclude=/backup.tgz --exclude=/mnt --exclude=/sys /

 

복구

1. 루트로 이동

#cd /

 

2. 압축을 풀어 복구

#tar xvpfz backup.tgz -C /

마지막의 -C / 옵션때문에 백업파일이 루트가 아닌 다른 곳에 저장되어있는 상태라도 상관없다.

 

 백업에서 제외했던 디렉토리는 직접 만들어 주어라
#mkdir proc
#mkdir lost+found
#mkdir mnt
#mkdir sys

재부팅을 하면 백업전과 똑같은 상태로 돌아 갈 것이다.

 

--아래는 내가 백업하기전 Directory 구성



 

[
Posted by 다오나무
우분투2012. 9. 7. 22:36

저의 경우 리눅스파티션(ext4)을 3개쓰고 있습니다.

윈도우파티션(NTFS)까지 합치면 9개의 파티션을 쓰고있죠. ;;

NTFS파티션을 자동으로 마운트되게 하는건 'ntfs-config'이라는 유틸을 사용하면 쉽게 되지만 ext4파티션은 직접 작성을 해줘야 합니다.


먼저 파티션의 uuid를 알아야합니다.(UUID: 범용 고유 식별자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을 실행시킵니다.


ls -l /dev/disk/by-uuid/

그러면 아래와 비슷한 하드의 파티션 UUID 번호가 나옵니다.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0-07-25 15:51 0440AAFD407AF498 -> ../../sda6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0-07-25 15:51 049C80B292809FB2 -> ../../sda9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0-07-25 15:52 1846215F46213EB7 -> ../../sda5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0-07-25 15:52 32905ABC3403C014 -> ../../sda8
lrwxrwxrwx 1 root root 11 2010-07-25 15:52 4f9e4283-2f18-48ef-a881-056f1fb2a30d -> ../../sda10
lrwxrwxrwx 1 root root 11 2010-07-25 15:52 5a5f097d-8587-473e-bc65-4d175b7fa6a5 -> ../../sda12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0-07-25 15:52 61ABCFF04CAD8CDB -> ../../sda1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0-07-25 15:51 789FCA7F3C10E3D7 -> ../../sda7
lrwxrwxrwx 1 root root 11 2010-07-25 15:51 a710af3e-bffc-42ec-979d-918c42f65b52 -> ../../sda13
lrwxrwxrwx 1 root root 11 2010-07-25 15:52 ad7e627d-6d70-4dda-bb51-0a582c0afc87 -> ../../sda11


여기서 날짜와 시간 뒤에있는 복잡해보이는 일련번호가 바로 'UUID'입니다.

../../sda6와 같은 문자는 파티션 번호입니다.


위의 파티션정보를 보면 sda라는 1번째하드에 uuid가 짧은 /sda1,/sda5~9는 ntfs파일시스템으로 /sda1은 윈도우의 C드라이브이고, /sda5~9는 D~H드라이브 입니다.

uuid가 긴 /sda10~12는 리눅스파일시스템(ext4)이며, /sda13은 스왑 파티션입니다.


이제 uuid번호를 알았으니 부팅할때 자동으로 마운트되게 하면 됩니다.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을 실행시킵니다.


sudo gedit /etc/fstab

그러면 아래와 비슷한 형식의 글이 나옵니다.


# /etc/fstab: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
#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proc    /proc    proc    nodev,noexec,nosuid    0    0

UUID=4f9e4283-2f18-48ef-a881-056f1fb7a30d    /    ext4    errors=remount-ro    0    1  >> 현재 사용중인 우분투 파티션.
UUID=049C80B292809FB2    /media/data    ntfs-3g    defaults,locale=ko_KR.UTF-8    0    0  >>이하 윈도우파티션.
UUID=1846215F46213EB7    /media/drama    ntfs-3g    defaults,locale=ko_KR.UTF-8    0    0
UUID=789FCA7F3C10E3D7    /media/fors    ntfs-3g    defaults,locale=ko_KR.UTF-8    0    0
UUID=32905ABC3403C014    /media/game    ntfs-3g    defaults,locale=ko_KR.UTF-8    0    0
UUID=0440AAFD407AF498    /media/ubuntuk    ntfs-3g    defaults,locale=ko_KR.UTF-8    0    0
UUID=61ABCFF04CAD8CDB    /media/seven    ntfs-3g    defaults,locale=ko_KR.UTF-8    0    0


자동 마운트 되는 파티션을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원하는 리눅스 파티션을 자동 마운트 한다면 uuid번호를  적어주면 됩니다.

/sda12파티션을 넣어준다고 가정한다면...위의 uuid번호를 그대로 복사&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UUID=5a5f097d-8587-473e-bc65-4d175b7fa6a5  /media/kubuntu    ext4    errors=remount-ro    0    1


유의 해야할것은 '/media/kubuntu'라는 폴더입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폴더명을 넣으면 됩니다.

보통 '/media/사용자폴더'로 위치를 정하면 되는데 다른 디렉토리로 해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사용자폴더'는 디렉토리(폴더)입니다. 꼭 디렉토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sudo mkdir /media/kubuntu


이제 재부팅해서 확인해 보세요. 자동으로 마운트되어 있을겁니다.


*****************************************************************************************************************8


저와 같이 리눅스파티션을 두개이상 쓰는분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혹시 필요한 분이 있을듯하여 적어봤습니다.

쉬운건데 너무 복잡하게 설명한듯 합니다.;;

Posted by 다오나무
우분투2012. 8. 26. 01:17

우분투는 SSH로 거의 모든 작업을 다 처리할 수 있지만,

가끔 GUI 모드로 원격접속해야 할 때가 있다. (이쁘기도 하고...)

이를 설정하기 위해 검색해보니 vnc를 이용한 서버 설치와 접속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접속하려는 윈도우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깔아야 하니 번거롭다 생각하던중 괜찮은걸 발견했다.

바로 vn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 연결(mstsc)을 이용해 접속 가능한 xrdp이다.


1. 설치방법

apt-get을 이용해 xrdp를 설치하자. 알아서 vnc4server등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해 준다.

$ sudo apt-get install xrdp


2. xrdp 설정 변경

설치하면 포트는 기본적으로 3389로 활성화 된다. 이 포트를 변경하고 싶으면 아래의 파일을 열어 설정값을 변경하자

$ sudo vim /etc/xrdp/xrdp.ini

1[globals]
2bitmap_cache=yes
3bitmap_compression=yes
4port=3389 #원하는 포트로 변경
5crypt_level=low
6channel_code=1


3. .xsession 파일 수정

2번까지만 설정하고 접속하면 접속은 되는데 바탕화면만 나오고 아무런 반응이 없다.

이럴땐 홈 디렉토리 아래에 .xsession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거나 없다면 추가해주자

$ sudo vim ~/.xsession

1gnome-session --session=ubuntu-2d


이후 접속해보자.

로그인은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모듈부분을 sesman-Xvnc로 두고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아주 잘 된다 !


'우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하드카피 방법  (0) 2012.09.06
우분투 하드카피  (0) 2012.09.06
우분투 - 예약실행 명령어 cron  (0) 2012.07.26
crontab 사용법 및 php 실행  (0) 2012.07.26
vsftpd 폴더 생성시 권퐇  (0) 2012.07.08
Posted by 다오나무
우분투2012. 7. 26. 20:50

1. crontab 사용법 

 

 분

 시

 일

 월

 요일

 명령어

 설명

 0-59

 0-23

 0-31

 1-12

 0-7

 실행할 파일 또는 명렁어

 

 30

 4,12

 *

cd /var/www/test; ./auto_sms.php

 매월 매주 매일 4시,12시 30분에 해당파일을 실행 시킨다.

 40

 1

 *

 *

 0

 

cd /var/www/test; ./auto_sms.php

 매월 매주일요일 1시 40분에 해당파일을 실행 시킨다.

 

2.등록 및 수정

 

 # crontab -e

  vi 형식의 에디터 창이 나오면 i 키로 등록할 명령어를 입력한다.

* * * * * /usr/home/test.sh >> /dev/null   : 1 분간격으로 해당 파일을 실행 하고 오류 저장을 하지 않는다.

 

3. .목록 확인

 

# crontab -l

 

4. 목록 수정

 

# crontab -e

 

# crontab -u username -e : 해당 유저의 crontab 수정

 

5. 목록 삭제

 

# crontab -r

 

6. 실행확인

 

# ps -ef | grep cron

 

7. 로그검토

 

# /var/log/cron

 

8. 파일 등록

 

# crontab [file_name]

 

9.시간 설정

 

 * * * * *

 1분 마다 수행

 5 * * * *

 매시 5분 마다 수행

 5 6 * * *

 매일 6시 5분에 수행

 5 6 7 * *

 매월 7일 6시 5분에 수행

 5 6 7 8 *

 매년 8월 7일 6시 5분에 수행

 5 6 * * 1

 매주 월요일 6시 5분에 수행

 5 6 1,10 * *

 매월 1일과 10일 6시 5분에 명령 수행

 5 6 1-10 * *

 매월 1일~10일 동안 6ㅛㅣ 5분에 명령 수행

 5 6 */5 * *

 매월 편집일로부터 5일마다 6시 5분에 수행

 

※ 주석 처리리시 맨 앞에 '#' 붙인다

   # * * * * * /usr/home/test.sh

 

※ PHP 쉘스크립트(php 바이너리 파일이 있는 곳을 앞에 적어준다)

 

 #!/usr/bin/php -e

<?php

    echo "hello";

?>

Posted by 다오나무
우분투2012. 6. 15. 18:40

웹프로그래밍을 공부하시는 분들, 특히 PHP를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APM이라는 패키지를 모를리가없다고 생각합니다. ( 모르신다면 지금이라도 한번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


 APM은 웹서버를 구성하는 주요 도구인 Apache서버, PHP, MySQL의 이니셜을 말합니다. 여기에 Linux까지 넣어서 LAMP라고도 합니다.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 APM 패키지를 설치하고 PHP를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위 명령을 실행합니다. 


 이제 아파치서버가 설치되었습니다. 아파치서버는 전세계 웝서버 점유율이 2007년 기준으로 50%가 넘는 인기있는 서버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아파치와 mysql을 연동하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 부분입니다. 

$sudo apt-get install libapache2-mod-auth-mysql


 두번째 단계도 마쳤습니다. 다음으로 DBMS인 My-sql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시킵니다.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명령어가 실행이 되면 Mysql 설치에 필요한 자료들을 내려 받고 Mysql 설치가 시작됩니다.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DBMS를 관리하기 위해 앞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잘 기억 할 수 있는 암호로 하거나 암호를 잘 기억해 두시기바랍니다. 


 암호를 한 번더 반복하여 입력합니다. 


 Mysql의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나면 설치가 계속 진행이 됩니다. 잠시후 설치가 끝나고 자동으로 Mysql database server 가 재시작됩니다. 설치가 끝났으면 여러분의 리눅스에는 Mysql이라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 깔리게 된 것입니다. 

이제 PHP5를 설치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php5-common php5 libapache2-mod-php5


php5이 설치되었습니다. 이제 웹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설치되었습니다. 
이제 php5와 Mysql을 연동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하겠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php5-mysql


이제 php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Mysql과 연동해서 DB 프로그램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Apache 서버를 재시작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이제 Mysql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netstat -tap | grep mysql


명령어 입력 후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뜬다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tcp 0 0 localhost.localdomain:mysql *:* LISTEN -

그러면 정상적으로 웹서버가 동작하는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다음을 입력해서 텍스트 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 sudo vi /var/www/phpinfo.php

 vi 에디터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파일을 만듭니다. 
<?php
    print_r(phpinfo());
?>

 간단한 vi에디터 사용법을 알려드리자면 시작하면 i키를 눌러서 삽입 모드를 작동시키고 위의 소스를 타이핑합니다. 타이핑이 완료되면 [ESC]키를 누르고 ":"( 콜론 [Alt] + ";" ) 과 wq를 입력해서 저장하고 종료를 합니다. ( ":wq" )

 인터넷 창을 열고( 우분투 데스크 톱에는 기본적으로 파이어폭스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http://locahost 를 입력합니다. 아파치서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출력 될 것입니다. 


  다음으로 php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localhost/phpinfo.php 를 입력해 봅니다. php5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php5에 대한 정보가 출력이 될 것입니다. 

 이제 /var/www/ 폴더가 여러분이 개발할 홈페이지의 기본 폴더가 될 것입니다. HTML파일이나 php파일을 만들어서 이 경로에 저장을 하면 다른 컴퓨터에서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php를 이용해서 웹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도록 합시다!! 이상 우분투 환경에서 APM을 설치해 보았습니다. 

Posted by 다오나무